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점심과 저녁, 메뉴 전략은 달라야 한다

by 맛씨오 2025. 3. 28.

“점심”과 “저녁”은 단순히 시간이 아니라  ‘목적이 다른 두 시장’ 입니다

1. 점심 고객의 목적: 생존형 소비

점심시간은 대부분 일정한 시간 안에 ‘끼니 해결’이 목표인 고객이 많습니다.

✔ 특징:

  • 빠르게 먹고 나가야 하며, 식사 외 목적은 거의 없음
  • “무난하고 익숙한 맛”을 선호
  • 혼밥 비중이 높고, 1~2인 방문이 일반적
  • 메뉴 선택에 고민하고 싶지 않음 (그래서 ‘정식’이 인기 많음)

✔ 고객 심리:

  • “시간이 없으니까 빨리 먹고 싶어”
  • “가격도 너무 비싸면 부담돼”
  • “평소 먹던 거, 무난한 걸로”

✔ 사장 입장에서 중요한 것:

  • 속도: 조리부터 제공까지 7~10분 이내
  • 단가: 8,000~10,000원대 → 원가 관리 필수
  • 회전율: 테이블 1회전보다 2~3회전이 수익에 더 유리
  • 메뉴 간소화: 메뉴가 많으면 회전이 느려지고 주문 오류 ↑

💡 핵심: 점심은 ‘고객이 머무는 시간’보다 ‘테이블이 몇 번 회전하느냐’가 수익 포인트

 

 2. 저녁 고객의 목적: 경험형 소비

저녁은 단순한 ‘식사’보다 즐거운 시간, 휴식, 교류의 목적이 포함됩니다.

✔ 특징:

  • 2인 이상 방문 비중 높고, 체류 시간 길어짐
  • “어떤 분위기에서 누구와 함께 먹느냐”가 중요
  • 메뉴를 나눠 먹거나 다양하게 주문하고 싶어 함
  • 맛도 중요하지만 ‘특별한 느낌’과 ‘사진 찍고 싶은 비주얼’도 고려 대상

✔ 고객 심리:

  • “오늘은 좀 특별하게 먹고 싶다”
  • “괜찮은 가게 찾으면 다음에 또 오지”
  • “이 메뉴, 사진 찍고 올리기 좋다”
  • “와인 한 잔 곁들이고 싶네”

✔ 사장 입장에서 중요한 것:

  • 객단가: 단가를 높여야 테이블 1회전으로도 매출이 유지됨
  • 메뉴 다양성: 단품보다는 세트, 안주형, 공유형 메뉴 중요
  • 감성 요소: 플레이팅, 음악, 조명, 인테리어가 경험에 영향
  • 서비스: 주문 도와주는 응대, 주류 페어링 추천 등 체류형 서비스 필요

💡 핵심: 저녁은 ‘빠르게 회전’이 아니라 ‘한 테이블에서 얼마 쓰느냐’가 수익 포인트

 

시간대별 메뉴 전략이 왜 중요한가?

구분점심저녁
고객 니즈 빠르고 익숙한 한 끼 천천히 즐기는 여유로운 식사
소비 심리 기능 중심 소비 (생존형) 감성 + 관계 중심 소비 (경험형)
메뉴 구성 단순/정식/가성비 다양/세트/분위기 강조 메뉴
핵심 전략 빠른 회전, 속도, 효율 객단가 상승, 체류 시간 확보, 만족도
운영 포인트 짧은 대기시간, 셀프 반찬, 간결한 메뉴판 메뉴 설명, 서빙 타이밍, 분위기 관리

 

2. 점심 메뉴 전략 – 회전율 중심

① 고객의 목적: 빠르고 가성비 있게 먹고 떠나기

  • 주요 고객층: 직장인, 학생, 이동 중 소비자
  • 음식 선택 기준: 빠르게 나오는 메뉴, 적당한 가격, 익숙한 맛

📌 전략 포인트:

  • 조리 시간 7분 이내 메뉴 구성
  • 메뉴 수는 적되 선택지는 있어야 함 (덮밥 2종 + 국물 1종 등)
  • 세트 메뉴, 정식 형태로 한 번에 나가는 구성이 유리

예시:

  • 한식: 제육덮밥 + 계란국 + 반찬 3종
  • 일식: 가츠동 + 미소된장국 + 샐러드
  • 분식: 떡볶이 + 튀김 세트, 비빔면 + 유부초밥

💡 회전율 팁:

  • 1인 세팅 완료 후 바로 제공 가능한 메뉴 구조
  • 런치 시간 전 메뉴 프리세팅, 반조리 구성 필수

 

3. 저녁 메뉴 전략 – 체류 시간과 객단가 중심

① 고객의 목적: 천천히, 여유 있게, 모임 또는 식사 이상의 경험

  • 주요 고객층: 직장 후 회식, 가족 단위 외식, 친구·연인 단위의 여가형 소비
  • 음식 선택 기준: 맛 + 분위기 + 양 + 공유 가능성

📌 전략 포인트:

  • 메뉴 수가 조금 많아도 OK → 공유형 메뉴, 알코올 연계 메뉴 추가
  • 단품보다 세트, 사이드, 주류 등 추가 선택지 많아야 객단가↑
  • 시간이 걸려도 괜찮은 메뉴 OK (전골, 구이, 튀김류 등)

예시:

  • 한식: 소불고기 정식 + 전 + 주류
  • 양식: 파스타 + 샐러드 + 와인 1잔 세트
  • 일식: 사시미 세트 + 튀김 + 소주/맥주

💡 객단가 팁:

  • 메뉴판 구성은 “기본 → 세트 → 프리미엄” 순서로 정렬
  • 주류 페어링 제안 or 저녁 전용 안주형 메뉴 도입

4. 시간대별 고객 동선도 다르다

항목점심 시간저녁 시간
고객 행동 패턴 빠르게 먹고 이동 천천히 머물고 이야기함
이용 시간 평균 15~30분 평균 60~90분
좌석 회전율 높음 (최대 2~3회전/테이블) 낮음 (1회전 중심)
메뉴 선택 기준 익숙함, 빠름, 가격 다양성, 비주얼, 분위기, 스토리

 

5. 운영 전략 정리

구분점심 메뉴 전략저녁 메뉴 전략
가격대 8,000~10,000원 10,000~20,000원 이상 가능
메뉴 수 3~5개 핵심 메뉴 집중 5~8개 + 사이드/주류 옵션 다양화
구성 방식 정식/단품 구성, 속도 중심 세트/공유형 구성, 감성·볼륨 중심
서비스 빠른 서빙, 셀프 반찬 응대형 서비스, 메뉴 설명 강화
마케팅 테이크아웃·배달, 런치 특가 이벤트 예약, 주류 프로모션, SNS 비주얼 강조

 

 

점심과 저녁은 시간대가 아니라 ‘소비 심리’가 다릅니다.
점심은 회전율과 속도,
저녁은 체류 시간과 감성, 객단가에 집중해야 합니다.

두 시간대를 동일한 메뉴와 가격 전략으로 운영하면 손해를 보기 쉽습니다.
하루의 시간 흐름에 맞춰 메뉴와 운영 전략도 리듬을 바꾸는 것이
지속 가능한 식당 운영의 핵심입니다.